장자우화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주최한 < 제1회 청년작가 초대전 >에 참가했을 때의 일이다.

나는 물감 박스를 재활용한 소품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시장을 꾸몄는데, 그중 폭 16m에 높이가 6m인 새 모양의 대형작업에 가장 신경을 썼다.

약 800여점의 소품을 고가사다리를 이용해 오르내리며 하나하나 일일이 못질을 해 벽에 걸어 나가는 설치 과정도 쉽지 않았다.

그래도 막상 작업을 완료하고 보니 커다란 벽면을 가득 채운 새는 제법 스케일 큰 위용을 뽐내며 조용히 날개를 접은 채 우리들을 압도하기에는 모자람이 없었다.

일상생활에서 영감을 얻은 이미지들로 완성시킨 작은 그림들이 모여 다시 초대형 작품으로 재구성된 새는 장자의 「소요유」 편에 등장하는 구만리장천을 날아다니는 대붕을 염두에 두고 설치한 것이었으며, 작품 제목은 「기억속의 새」 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막상 전시가 시작되고 관람객들이 몰려와 호기심어린 표정과 각양각색의 반응 끝에 정작 작품 설치 의도를 물어올 때면 감히 장자를 이야기하기가 쑥스러웠다.

그런데 하루 이틀이 지나고 사람들도 점점 그 새에 동화되어가는 듯하자 나 역시 최면에 걸린 듯 처음에는 어색하게, 며칠이 더 지난 후 부터는 상당히 그럴듯하게 새 등에 장자를 태운 채 위엄 있게 날아다니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게 전시 종료를 앞둔 어느 날 마침내 파국이 찾아왔다.  그날은 모 대학교 현장수업의 일환으로 찾아온 학생들을 인계받아 정말 열심히 제작 방법과 폐품을 재활용하는 창조정신의 자세 등등을 배경으로 깔다가 드디어 작품의 정신적 근원을 동양철학의 진수인 장자의 만물제동사상과 나의 거대한 새를 다리 놓아야  하는 결정적인 순간에 이르렀다. 그런데 바로 그 때 한 무리의 유치원생들이 인솔교사를 따라 나의 자랑스러운 새 쪽으로 쪼르르 몰려왔다.

순간 우리 모두는 녀석들의 천진무구함에 압도되어 예외 없이 그들을 바라보고 있는 가운데 인솔교사는 다정스러운 목소리로 현장수업을 시작했다.

"여러분 지금 이 벽에 있는 그림은 무엇 인가요? "

그러자 아이들은 조금의 갈등이나 고민도 없이 일제히 외쳐댔다.

"병아리요! 아니..참새요! "

쓰르라미가 대붕의 흉내를 내다가 어린아이의 정직한 눈을 피해가지 못한 그날 비로소 장자의 가르침이 조금 이해가 되는 듯 했다.



이영철 (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