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詩·그림을 만나다]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박미영 시, 이영철 그림 / 2008년 8월 16일 (토)
김중기기자 filmtong@msnet.co.kr 기사전문
“난 저 사람 몰라. 날 쫓아와 겁탈하려 했어. 그는 미쳤어. 나는 그 사람 이름도 모르는 걸. 그가 누군지 몰라. 그가 누군지 몰라… .”
남자는 자궁 속의 태아처럼 웅크린 채 베란다에서 죽어가고, 권총을 든 여자는 ‘그를 모른다’고만 혼잣말로 되풀이한다.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라는 낭만적이고 비장미 넘치는 제목의 이 영화는 오랫동안 음란하고 불온한 영화로 낙인 찍혔다. 1972년 12월 15일 파리에서 최초로 공개됐지만, 이탈리아에서는 상영금지됐다 1987년 해금됐고, 한국에서는 24년이 지난 후에야 겨우 극장을 잡을 수 있었다.
이탈리아의 거장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가 감독한 이 영화에서 명배우 말론 브랜도가 알몸으로 연기했고, 당시 20세의 마리아 슈나이더도 체모를 드러내는 노출을 마다하지 않았다. 사디스트적인 섹스, 동물적인 육욕 등 36년 전이란 시간대를 감안하면 파격적인 영화였다. 한국에서 ‘서울 탱고’ 등 명성(?)에 편승한 에로물들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에로티시즘은 생존의 문제에선 약간 빗겨나 있다. 걱정 근심 없을 때, 약간은 감정적 사치에 의한 욕망 해소를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섹스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절대 고독을 얘기하고, 그 수단으로 섹스를 끄집어내고 있다.
삶의 의욕을 상실한 한 중년남. 그의 아내는 자살했다. 욕실 바닥과 벽을 피로 적시며 죽어갔다. 이 남자가 아는 것은 아내가 위층에 세 들어 사는 마르셀이란 남자에게 자신과 똑같은 파자마, 똑같은 술, 똑같은 육체를 제공하며 살았다는 것뿐이다.
그는 파리를 방황하다 빈 아파트에서 젊은 여인을 만난다. 말이 필요 없다는 듯 둘은 정사를 나눈다. 상처받은 야수의 화급한 섹스. 아무 말도 없이 헤어진다.
이름 없는 남녀. 둘은 섹스로 얘기한다. 사랑도 삶도, 고통도 존재도 섹스 속에서만 이뤄진다. 그러나 곧 이름을 불러주고 싶은 단계가 온다. 여자가 묻자 그는 “여기선 이름이 없어. 아무도, 아무것도 없어”라며 부정한다. 그러면서 “내 이름을 들어보겠어?”라고 묻고는 ‘우우~’ 동물의 소리를 낸다. 여자도 따라 동물 흉내를 낸다.
폴은 고통스럽다. 태어난 것도, 살아간다는 것도 견디기 어렵다. 인간이란 존재를 부정하고 되돌리고 싶다. 그때 그에게 잡힌 끈이 잔느다. 정확히 말하면 잔느의 몸이고, 잔느와의 동물적인 섹스다. 그 움직임은 하나의 의식이다. 마치 절도와 관능 속에서 춤추는 욕망의 탱고와 같은 것이다.
‘슬로우 슬로우 퀵퀵’. 시인 박미영은 고독과 절망, 육욕으로 춤추는 폴의 의식을 동적인 탱고의 스텝으로 그리고 있다. 나쁜 추억을 외투처럼 걸친 한 남자가 비대해진 도시의 환락 속에서 춤추다, 낡은 세탁선 난간 아래에 껌을 붙이고 죽어가는 모습을 통째로 시 한 편에 담고 있다.
화가 이영철은 도시 한 모퉁이에서 소리 없이 가라앉은 폴을 ‘익명의 섬’으로 그려냈다. 영화 도입부에 나오는 영국 신구상회화의 대표작가 프란시스 베이컨의 그림은 폴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비스듬히 누운 한 남자, 그의 얼굴은 눈빛도 알 수 없도록 일그러져 있다. 소외와 고독으로 일그러진 현대인의 초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영철은 잔느의 상반신 누드를 전면에 배치했다. 스무살, 갓 피어난 봉긋한 누드 위에 그녀가 세상을 향해 온몸을 드러내고 있는 전신 누드를 드로잉으로 올려놓았다. 하단부는 붉은 색과 노란색으로, 상단부는 검은 색으로 채워 삶과 욕망의 실체와 죽음과 절대고독이 충돌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배치했다.
창가에 선 폴의 뒷모습이 외로움과 처연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겨우 잡은 끈, 그 속에 피어나는 삶의 욕구와 사랑의 신호로 그는 “당신 이름을 알고 싶어”라고 말한다. 이 순간 터지는 총성. 그는 마지막 숨을 환한 파리의 파란 하늘을 향해 뿜어내고는 고통스런 파리에서의 마지막 춤을 마감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김춘수 ‘꽃’)
Last Tango in Paris 영화정보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각본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주연 말론 브랜도, 마리아 슈나이더
상영시간 136분
개봉연월 1972년 12월
1972년에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만든 에로티시즘에 관한 영화로 파격적 성관계 속에서 현대인의 고독과 사랑을 그린다.
이탈리아의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Bernardo Bertolucci) 감독이 연출하고 말론 브랜도(Marlon Brando), 마리아 슈나이더(Maria Schneider) 등이 출연하였다.
폴은 파리에 사는 중년의 미국인이다. 한 건물 내에 정부를 두고 살았던 그의 아내가 자살한다. 그는 임대아파트를 구하러 갔다가 집을 둘러보는 20살의 잔과 서로 이름도 모르는 채 격렬한 정사를 벌인다.
둘은 인사도 없이 거리를 나선다. 잔은 기차역으로 달려가 약혼자 톰에게 안기고 폴은 아내가 자살한 여관방으로 간다.
장모는 폴에게 딸의 자살 이유를 묻는데 그는 자신도 알 수 없어 화를 낸다. 그는 아내가 위층에 사는 남자에게 자신과 똑같은 잠옷·술·육체를 주었다는 사실만 알 뿐이다.
폴과 잔은 아파트에서 다시 만나 정사를 나눈다. 그는 자신에 대해 묻는 그녀에게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그의 고독감에 짓눌린 잔은 약혼자의 청혼을 받아들이지만 폴의 색다른 매력에 이끌려 아파트를 찾는다.
폴은 이사를 가버렸고 잔은 빈 방에서 흐느껴 운다. 센 강변을 걷는 그녀에게 그가 다가와 도망가려는 그녀를 따라간 탱고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낸다.
그러나 잔은 대화보다 정사를 나눌 수 있는 호텔을 원한다. 그의 슬픔을 이해하려는 마음이 없는 그녀는 그의 파행적 행동에서 도망치려 한다.
그는 잔의 뒤를 쫓아 엘리베이터에서 내리는 그녀를 붙잡는다. 그녀는 그를 뿌리치고 아파트에 들어가 아버지의 유품인 권총을 꺼내든다.
잔은 그를 향해 방아쇠를 당긴다. 그의 죽음을 보면서 그녀는 미친 듯이 중얼거린다. "난 저 사람을 몰라. 저 사람이 날 쫓아왔어. 날 겁탈하려고 했어. 난 저 사람이 누군지 몰라… 누군지 몰라…"
정신적으로 유배되어 있는 폴의 일주일간의 삶을 다룬 이 영화는 폴과 잔의 기묘한 애정에 국한하지 않는다. 폴은 잔에 대해 이름을 포함한 모든 것을 알려고 하지 않으며 강박적으로 마음의 문을 닫는다. 그는 성행위를 통해서만 의사소통한다.
이 영화는 외설시비를 일으키면서 흥행에 성공하였고 평가는 찬성과 반대 양편으로 분명하게 나누어졌다.
1972년 12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로 일반 상영되었다. 이탈리아의 지방법원이 이 영화를 압수하자 상영이 금지되었다가 1987년에 해금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겨울에 개봉되었다.
이영철의 작업 텍스트
* 파일 080813-01
* 명제 / 익명의 섬
* 규격 / 54 X 74cm
* 재료기법 / Mixed media on Printing pape
전반부에서 이름은 안 된다고 외쳐대던 주인공 폴은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고독과 슬픔, 삶에 대한 분노로 몸부림치며 시종일관 익명의 섬으로 떠다니다가 마침내 잔느에게 너의 이름을 알고 싶다고 고백하고는 도시 사회 한 모퉁이에서 소리 없이 가라앉습니다.
그래서 작업의 제목을 <익명의 섬>으로 정했습니다.
원초적 에로티시즘을 지향하다보니 인간의 고독에 관한 영화를 찍고 있더라는 감독의 고백은 관객에게도 선명한 공감대를 형성해 주는 듯합니다. 영화 도입부에 나오는 영국 신구상회화의 대표작가 프란시스 베이컨이 지향하는 현대인의 소외와 고독으로 일그러진 인간 내면의 초상화들도 이미 이 영화가 어느 곳을 바라보고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지 않습니까! 작업은 우선 잔느의 상반신 누드를 주제로 내세우고 화면 상단에는 드로잉을 한 그녀의 전신 누드 와상을 배치해 에로티시즘과 그들이 집요하게 매달리는 감각의 허망함을 대비시켜보았습니다. 그리고 화면 우측 상단에는 폴의 뒷모습 실루엣을 넣어 그가 짊어지고 있는 고독을 담아보았으며 좌측에는 역시 굵은 선묘로 그의 옆얼굴 윤곽을 배치해 부유하듯 방황하는 그의 공허함을 실어내고자 했습니다.
배경의 하단부는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배치하고 상단부는 검은색들로 채워 삶과 욕망의 실체와 죽음과 절대고독이 충돌하고 갈등하도록 배치했습니다.
실루엣의 고양이는 폴이 닫혀있을 때는 맹렬하게 다가서다가 마침내 폴의 마음이 열리는 시점에서는 반대로 무겁게 닫혀버린 잔느의 마음입니다.
작업은 판화지 위에 아크릴을 주로 사용해 진행한 후 오일스틱으로 드로잉을 가미했습니다.